ChatGPT와 Perplexity에 내 블로그가 뜨게 하려면? : SEO 아닌 AEO 의 시대

User avatar placeholder
Written by 노퇴근

6월 7, 2025

이제는 검색 사용자가 점점 더 구글이나 네이버가 아닌, ChatGPT나 Perplexity 같은 AI에게 직접 질문하는 시대입니다. 기존의 블로그 SEO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제는 AI에 노출되기 위한 AEO(AI Engine Optimization) 전략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AEO는 단순히 검색에 최적화된 글을 넘어서, AI가 믿고 참고할 수 있는 구조와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특히 AI가 콘텐츠를 인용할 때는 출처 형식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한 번 AEO에 최적화된 내 사이트와 블로그는 지속적으로 AI의 추천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나의 콘텐츠로 검색엔진에서의 유입도 잡고, AI 출처 노출도 잡을 수 있는 시대가 된 거죠. ai 출처에 노출이 된다면?

  • ✅ 브랜드 인지도
  • ✅ 검색 유입
  • ✅ 전문성 포지셔닝 까지

위의 3콤보를 한번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AI 를 이용하여, 자동화하여 작성되는 글이 많아지고 있지만, 결국 중요한건 고품질의 콘텐츠가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검색엔진에만 존재하던 시절에서 좋은 콘텐츠는 정보만 전달했다면, ai 시대에서는 행동과 함께 사용자에게 이득이 되는 콘텐츠가 되는 좋은 콘텐츠로 인식 되고 있습니다. 점차 고도화 되고 있는 콘텐츠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좋은 콘텐츠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글은 아래의 내용에서 별도로 담아 두었습니다.

콘텐츠 제작자가 AEO를 고민해야 하는 이유

  1. 사람보다 AI가 먼저 읽는다
    → 챗봇이 먼저 읽고 요약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
  2. AI 요약이 글의 전부가 된다
    → AI가 핵심을 뽑을 수 없으면, 아무리 잘 써도 노출 안됨.
  3. 검색 트래픽이 줄고, AI 대화 유입이 폭증 중
    → 블로그, 뉴스, 유튜브 등도 AI 추천 알고리즘에 달려 있음.

🤔 AEO가 뭔가요?

AEO는 AI Engine Optimization의 줄임말로,
GPT, Claude, Perplexity 같은 AI 검색 모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구조를 설계하는 전략입니다.

쉽게 말해,
“사람에게 보이는 글”에서 → “AI가 먼저 이해하는 글”로의 전환이 핵심입니다.

🔍 검색에서 ‘대화’로, 검색창이 아니라 ‘챗봇’이 먼저다

구분예전 검색 시대 (SEO)지금 AI 검색 시대 (AEO)
검색 주체사용자(사람)AI(챗봇)
주된 방식키워드 중심 텍스트의미 중심 질문/답변
최적화 기준제목, 메타태그, 백링크구조화된 정보, 문맥성, 요약 가능성
콘텐츠 방향클릭 유도, 노출인식 용이, AI 요약 최적화

🧠 지금은 AI 에게 “질문 중심 검색 시대”

사람들은 이제 더 이상 키워드만 검색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지금 사용자들은 같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검색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 검색엔진에 검색하는 질문 유형 3가지
"GPTbot 이란"
"gpt 에 블로그 노출"
"ChatGPT 내 사이트 노출 방법"
  • chat gpt 에 검색하는 질문 유형 3가지
  • “GPTBot이 뭐야?”
  • “퍼플렉시티에에 노출되려면 어떻게 헤애돼?”
  • “ChatGPT에서 내 사이트가 출처로 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

과거에는 사람들이 검색창에 단순히 “키워드 + 키워드” 조합을 입력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SEO” 또는 “GPTBot 차단”처럼요.

즉, 지금의 AI 검색은 단순 키워드가 아니라 키워드 + 의도(intent), 키워드 + 행동 지시, 또는 키워드 + 컨텍스트가 결합된 더 풍부한 언어 구조로 질문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변화는 콘텐츠 작성 방식도 바꿔야 한다는 뜻입니다. 기존의 SEO뿐만 아니라, AI가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조화하는 AEO(AI Engine Optimization) 전략이 필수입니다.

👌 ChatGPT에 노출되기위해 먼저 GPTBot 허용하기

ChatGPT가 웹의 정보를 학습하고 인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려면, 가장 먼저 GPTBot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GPTBot은 OpenAI가 운영하는 웹 크롤러로, ChatGPT가 웹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출처를 인용할 때 활용됩니다. 이 봇이 내 블로그를 긁어갈 수 있어야 AI에게 신뢰 가능한 데이터로 인식되며, 그 결과 ChatGPT의 답변에 내 블로그가 출처로 포함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죠.

robots.txt 설정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GPTBot의 접근을 허용하면서, 너무 자주 긁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저같이 직접 서버를 aws 에서 사용하는 경우 트래픽이 발생하면 서버다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User-agent: GPTBot
Crawl-delay: 30
  • ❗ “Disallow: /” 라고 설정해버리면 GPTBot의 접근이 완전히 차단되어 **AI 노출 기회가 0%**가 됩니다.
  • ✔️ Crawl-delay는 30초는 적절한 속도로 데이터를 긁게 해 서버 부하도 방지하고, 긍정적인 노출 기회를 유지할 수 있는 밸런스 세팅입니다.

내 콘텐츠를 AI에게 보이게하기위한 조건

GPTBot을 허용했다고 해서 무조건 AI가 내 콘텐츠를 인용하는 건 아닙니다. AI가 내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 조건들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HTTPS 적용 : 보안이 적용된 사이트만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 모바일 최적화 : 모바일 접근성과 디자인이 깨지지 않아야 크롤링 품질이 좋아집니다.
  • 빠른 페이지 로딩 속도 : 느린 사이트는 AI 크롤러가 긁기를 포기하거나 후순위로 밀릴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필요 없는 공개 접근 :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없이 바로 콘텐츠를 볼 수 있어야 함.

기본적으로 웹사이트 생성할때 https를 하지만, seo 외주 작업을 맡아서 진행하다보면, https 설정을 하지 않은 분들이 많은데 https 는 기본적으로 진행되주어야합니다.

모바일 최적화와 페이지 로딩 속도 검사는 구글 페이지 스피드 인사이트에(pagespeed.web.dev)서 본인 사이트의 url 만 입력한다면 1분 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의 경우 모바일 기준 98점이 나오는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로 제작되었으며, 제네레이터 테마 + wp rocket 플러그인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 AEO 콘텐츠 작성 체크리스트 (실전용)

항목설명예시
✅ 구조화된 제목질문형 or 핵심 키워드로 시작“ChatGPT 시대, 블로그는 죽었는가?”
✅ 단락마다 소제목H2~H3 태그로 정보 구분AEO란 무엇인가요?
✅ 요약 문장 제공각 섹션마다 핵심 문장 명시“AEO는 AI가 먼저 읽는 SEO다.”
✅ 표/리스트 활용GPT가 구조를 인식하기 쉬움위와 같은 표 활용
✅ 인과 구조 강조“왜 그런가 → 그래서 어떻게”문제 → 해법 방식 설명
✅ 자연어 질문 포함사용자가 질문할 만한 문장 포함“AEO 어떻게 시작하나요?”

1. 구조화된 제목: 질문형 또는 핵심 키워드로 시작하라

AEO 시대에는 제목만 잘 써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AI는 먼저 제목을 읽고 문맥을 파악합니다. 이때 질문형이나 명확한 키워드 중심 제목이 가장 잘 인식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어떻게 살아남나?” 보다는 “ChatGPT 시대, 블로그는 죽었는가?”처럼 주제와 위기감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목이 효과적입니다.

2. 단락마다 소제목: H2, H3 태그로 정보 흐름을 분할하라

사람도 그렇지만 AI도 긴 글은 부담스러워합니다.
중간중간 의미 단위로 끊어주는 소제목을 붙여야 문맥을 따라가기 쉽습니다. HTML 기준으로는 <h2>, <h3> 태그를 적극 활용하세요.
예: AEO란 무엇인가요?
이런 소제목이 있을수록 AI가 글을 구조화해서 요약하기 쉬워집니다.

3. 요약 문장 제공: 섹션마다 핵심 한 줄을 넣어라

각 섹션이 끝날 때마다 핵심 문장 하나를 별도로 강조하면 AI가 요약할 때 그 문장을 중심으로 내용을 압축합니다.
예를 들어, “AEO는 AI가 먼저 읽는 SEO다.”처럼 요약이 가능한 문장을 삽입하세요.
이런 문장은 GPT, Claude, Perplexity 같은 AI가 콘텐츠 요약 시 그대로 활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4. 표와 리스트 활용: 시각적 구조는 AI에게도 중요하다

글의 내용을 표나 리스트로 정리하면 사람뿐 아니라 AI도 구조를 인식하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AEO vs SEO를 비교할 땐 간단한 표 형식으로 정리하거나, 실행 항목은 1., 2., 3. 식의 리스트로 나열하면 AI가 핵심 요소를 구분해 인식합니다.
GPT는 표와 리스트 구조를 매우 선호합니다.

5. 인과 구조 강조: 문제 → 원인 → 해결 흐름으로 설계하라

AI가 정보를 이해하고 추천하려면 논리적 흐름이 명확해야 합니다.
따라서 글은 “왜 그런가?”를 먼저 말하고, “그래서 어떻게?”를 따라붙여야 합니다.
예: “검색엔진 트래픽이 줄어들고 있다. 왜? 사람들이 GPT에게 직접 묻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AEO를 배워야 한다.”
이런 인과적 전개 방식은 AI가 요약하거나 질문 응답 구조로 변환할 때 매우 유리합니다.

6. 자연어 질문 포함: 사용자가 실제로 묻는 문장을 넣어라

AI는 사용자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유사 질문을 포함한 글을 선호합니다.
즉, 본문에 자연스럽게 “AEO는 어떻게 시작하나요?”, “콘텐츠를 어떻게 바꿔야 하나요?” 같은 문장이 포함되면,
AI가 그 문장을 인식해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 콘텐츠로 매칭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제는 글을 “읽는 사람”보다 “묻는 AI”를 위한 구조로 만들어야 합니다.

✅ AI가 좋아하는 콘텐츠 구조

  • Q&A 형식 (예: “GPTBot이란?”)
  • 리스트형 / How-to / 단계별 설명
  • 요약 → 상세 설명 → 실전 팁 구조

구조적인 콘텐츠는 콘텐츠 내부에 제목(h태그) , 리스트 (li 태그), Q&A (faq스키마) + how to (how to 스키마) 가 포함되어 있을때 검색엔진과 ai 가 구조적인 콘텐츠로 인식합니다.

사람과 다르게 검색엔진 크롤링 봇과 ai 크롤링 봇의 경우 같은 글을 작성하더라도, 구조적이냐, 구조적이지 않느냐에 따라 콘텐츠의 품질 지수를 나눕니다.

예를들어 같은 1200자의 글이라도 제목, 리스트, q&a 가 없는 글이라면, 크롤링 로봇의 겨우

✅ AI가 좋아하는 콘텐츠 예시

Q. GPTBot이 뭐야?
A. GPTBot은 OpenAI가 운영하는 AI 학습용 웹 크롤러입니다.

Q. 막을 수 있나요?
A. robots.txt에 아래 설정을 하면 됩니다:

User-agent: GPTBot  
Disallow: /

이런 식으로 질문을 예상해서 글을 쓰면, ChatGPT가 출처로 딱! 잡아갑니다.

🔗 Perplexity에 뜨려면 ?

Perplexity는 실제 링크를 노출하는 걸 좋아하는 편입니다.

✅ Perplexity 노출 조건

  • 명확한 질문 키워드가 제목에 포함예: “GPTBot 차단법 2025 최신판”
  • 페이지 안에 요약 먼저, 뒤에 상세 설명
  • 정적 콘텐츠 (자바스크립트 아닌 HTML 본문)
  • schema.org 구조화 데이터 활용 (선택)

🛠️ Schema 마크업으로 AI에게 구조 힌트 주기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FAQPage",
  "mainEntity": [
    {
      "@type": "Question",
      "name": "GPTBot이란?",
      "acceptedAnswer": {
        "@type": "Answer",
        "text": "GPTBot은 OpenAI가 운영하는 웹 크롤러입니다."
      }
    }
  ]
}
</script>

ChatGPT + Google AI + Perplexity가 구조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 seo 플러그인인 yoast seo, rankmath 플러그인에서 제공하는 faq 항목을 이용하여 스키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EO용 프롬프트

이 블로그 글을 ChatGPT가 인식하고 요약하기 쉽게 만들고 싶어요.

1. 문단별 요약 가능하게 정리
2. Q&A 구조 추가
3. 키워드를 GPT가 잘 인식하도록 재배치
→ 마크다운 형태로 바꿔 작성
할것.

📌 마무리: 이제는 “AI에게 읽히는 글”이 먼저입니다

현재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것보다 ChatGPT에서 검색 하는 사용자들이 더욱 많아지고잇는데요. chat gpt는 검색 결과를 넘어서 사람들이 가장 먼저 정보를 창구가 되었어습니다.

“이 글을 누가 읽을까?”에서 이제는 “이 글을 어떤 AI가 먼저 요약할까?”로 바뀌었습니다.

콘텐츠 제작자라면, 이제는 키워드 수동 삽입보다, AI가 이해하고 재가공할 수 있는 콘텐츠 구조를 먼저 설계해야 합니다. AEO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입니다.

Image placeholder

본 블로그외에도 sns 채널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노퇴근 | let’s 귤팁
감정을 회복하는 철학이, 기술보다 먼저입니다.

당신의 흔적을 남겨주세요.

🫧 짧은 한마디도 좋아요. 당신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목차